삼중 바닥이 무너질 때|실패한 삼중 바닥 패턴(Busted Triple Bottoms) 이해하기

Homecandle

목차

  1. 실패한 삼중 바닥 패턴의 정의
  2.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3.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4.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5. 실패한 삼중 바닥 패턴의 통계
  6. 실전 트레이딩 전략
  7. 요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차트 분석에서 조금 생소할 수 있는 실패한 삼중 바닥 패턴(Busted Triple Bottoms)을 다뤄볼게요.

(개념 전체 흐름은 먼저 버스트 차트 패턴이란? 실패한 돌파에서 폭발적 반전이 나오는 이유를 보시면 이해가 빨라요.)

삼중 바닥은 보통 세 번의 바닥을 확인한 뒤 위쪽으로 돌파하면 강력한 상승 반전 신호로 여겨지지만, 현실에서는 항상 그렇게 흘러가지 않아요.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오히려 10% 이상 하락하면서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안기기도 하는데, 바로 이런 상황을 실패한 삼중 바닥이라고 합니다.

(바닥형의 유사 실패 구조는 실패한 더블 바텀(Busted Double Bottom)에서도 자주 관찰됩니다.)

실패한 삼중 바닥 패턴의 정의

  • 주가가 삼중 바닥의 최고점 위로 종가 마감하며 패턴 확정.
  • 상승폭이 10% 이내에서 멈춤.
  • 이후 다시 하락해 삼중 바닥의 최저점을 깨고 종가 마감.
  • 하락이 10% 이상 이어지면 실패 패턴으로 확정.

💡 통계적으로 보면, 상승장에서 실패한 삼중 바닥은 평균 14% 하락을 기록했다고 해요. 단, 이는 ‘완벽하게 거래했을 때’ 기준이라 실제 체감은 더 클 수 있습니다.

(다른 바닥형 실패와 비교하려면 실패한 역헤드앤숄더 바닥 패턴도 참고하세요.)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가장 전형적인 실패 패턴이에요.

🔍 진행 과정 (사례)
  • A, B, C: 삼중 바닥 형성.
  • H: 주가가 삼중 바닥 상단 돌파 → 패턴 확정.
  • F~G: 상승폭은 9%로 10%에 못 미침.
  • D: 이후 주가가 하락해 바닥 이탈, 종가 마감 → 실패 발생.
  • E: 최저점이 최초 바닥 대비 11% 낮아지며 싱글 실패 패턴 완성.

📌 핵심은 상승이 충분히 이어지지 못하고, 곧바로 10% 이상 하락으로 이어졌다는 점이에요.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두 번에 걸쳐 실패가 나타나는 경우예요.

🔍 진행 과정 (사례)
  • A, B, C: 삼중 바닥 형성.
  • 빨간 선 돌파 → 패턴 확정.
  • D: 주가가 하락해 파란 선(바닥) 아래 종가 마감 → 첫 번째 실패.
  • 하지만 하락폭은 10% 미만.
  • E: 다시 반등하여 상단 돌파 → 두 번째 실패 발생.
  • 이후 상승폭이 10% 이상 이어지며 더블 실패 패턴 완성.

📌 만약 두 번째 상승이 10%를 넘기지 못한다면, 이후 또 하락하여 트리플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사한 구조적 실패는 삼각형 계열에서도 나타나요. 예: 하락 삼각형 페이크아웃)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세 번 이상 실패가 반복되는 경우예요.

🔍 진행 과정 (사례)
  • A~C: 삼중 바닥 형성.
  • D: 상단 돌파, 하지만 상승폭은 10% 미만.
  • E: 하락해 바닥 이탈 → 첫 번째 실패.
  • F: 반등해 상단 돌파 → 두 번째 실패.
  • G: 다시 하락해 바닥 이탈 → 세 번째 실패.

👉 이 사례에서는 이후에도 몇 차례 더 실패가 반복돼, 총 5번의 실패 후 10% 이상 하락하며 마무리됐습니다.

📌 즉, 삼중 바닥이 실패로 이어지면 시장은 뚜렷한 방향을 잡지 못한 채, 오히려 변동성만 커질 수 있다는 점이에요.

(수렴 구간에서 다중 실패가 잦으니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실패한 삼중 바닥 패턴의 성과 (Performance)

책의 통계를 정리하면:

  • 전체 삼중 바닥 중 23%가 실패.
    • 53%는 싱글 실패
    • 31%는 더블 실패
    • 16%는 트리플 실패
  • 싱글 실패 패턴의 평균 하락폭: 23%
  • 실패하지 않은 삼중 바닥(즉, 정상 상승)의 평균 하락폭: 14%

💬 즉, 실패한 삼중 바닥은 상승 반전이 무효화될 뿐만 아니라 더 큰 하락 위험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볼 필요가 있어요.

(레인지 구간에서는 실패한 직사각형(박스) 패턴이 유사한 역전 논리를 제공합니다.)

실전 트레이딩 전략

실패한 삼중 바닥은 사실상 공격적인 매매보다는 방어적 접근이 적합합니다.

📈 사례
  • A, B, C: 삼중 바닥 형성.
  • 빨간 선 돌파 → 패턴 확정.
  • D: 곧바로 갭 하락, 파란 선 이탈 → 실패 확정.
  • E: 일시적 반등(데드캣 바운스) 후 급락.
  • 최종 하락폭: -45% (8월 저점).
전략 팁
  • 상승 확정 직후라도 주가가 지지선을 유지하지 못한다면 즉시 청산 고려.
  • 실패 패턴은 ‘데드캣 바운스(Dead-cat bounce, 일시적 반등 후 재하락)’로 이어질 가능성이 큼 → 짧은 매도 전략은 유효할 수 있음.
  • 하지만 평균 하락폭이 크지 않고, 실패 자체가 드문 편이므로 베어마켓(약세장)에서만 신중히 활용하는 게 안전.

(상단 실패 쪽 비교 자료: 실패한 삼중 천장(Busted Triple Tops))

  • 전체 삼중 바닥 중 23%가 실패.
  • 싱글·더블·트리플 실패로 구분되며, 실패 시 평균 23% 하락.
  • 특히 약세장에서 실패 패턴이 더 자주 발생하고, 하락폭도 더 커짐.
  • 트레이딩보다는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주의 깊게 살펴야 함.

👉 삼중 바닥을 볼 때 단순히 상승 반전만 기대하기보다는, 실패 가능성과 그로 인한 하락 리스크도 반드시 고려하는 게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