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한 더블 바텀(Busted Double Bottom) 완벽 해설 실패한 더블 바닥 패턴의 모든 것

Homecandle

목차

  1. 더블 바텀 패턴 붕괴란?
  2.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3.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4.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5. 통계로 보는 더블 바텀 패턴
  6. 실전 트레이딩 전략
  7. 요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차트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패턴 중 하나인 ‘Busted Double Bottoms’, 즉 ‘더블 바텀 패턴의 붕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개념 전체 흐름은 먼저 버스트 차트 패턴이란? 실패한 돌파에서 폭발적 반전이 나오는 이유를 보면 이해가 빨라요.)

주식 투자자 분들께서 많이 사용하는 기술적 분석 기법 중 하나인데요, 특히 패턴이 무너질 때 어떤 움직임이 나오는지 이해하면 리스크 관리나 매매 타이밍에 큰 도움이 된답니다

더블 바텀 패턴 붕괴란?

Double Bottom (이중 바닥)은 차트에서 W자 형태로 보이는 반전형 패턴이에요. 주가가 두 번 바닥을 만들고 상승하면서 추세 전환의 신호로 해석되죠.

그런데 이 패턴이 상승을 시작한 후, 10% 이상 오르지 못하고 다시 하락하여 이전 바닥선 밑으로 주가가 마감(close) 된다면, 이 패턴은 ‘Busted Double Bottom’ 즉, ‘붕괴된 더블 바텀’이 됩니다. 말 그대로 신호가 무효화된 거예요

(바닥형의 유사 실패·역전 구조는 실패한 삼중 바닥 패턴실패한 역헤드앤숄더 바닥 패턴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요.)

Single Bust (단일 붕괴)

✅ 조건 정리
  1. 더블 바텀 패턴이 완성되어 상단을 돌파해야 해요. (가격이 두 바닥 사이의 고점 위에서 마감)
  2. 이후 10% 이상 상승하지 못한 채 다시 하락해야 해요.
  3. 하단(두 바닥 중 낮은 가격) 밑으로 마감되면 ‘붕괴’가 발생합니다.
  4. 그리고 그 하락이 하단에서 다시 10% 이상 내려야 확실한 단일 붕괴로 인식돼요.

📷 예시

패턴 상단에서 상승이 멈추고, 상승폭이 10% 미만인 상태에서 다시 하락하여 바닥을 붕괴하면서, 단일 붕괴가 확인되는 모습이에요.

💡 참고 용어

  • Adam & Adam은 두 개의 날카로운 형태의 바닥을 뜻해요. (반대는 Eve & Eve)

Double Bust (이중 붕괴)

조건 정리
  1. 상단 돌파 후 10% 미만 상승
  2. 하단 붕괴 후 10% 미만 하락
  3. 다시 상단 돌파 (두 번째 붕괴)
  4. 이후 10% 이상 상승할 경우 이중 붕괴 완성

📷 예시

상단 돌파 → 10% 미만 상승 → 하단 붕괴 → 다시 상단 돌파 → 이후 10% 이상 상승
이 과정을 거치면 ‘이중 붕괴’로 구분돼요.

(레인지 국면에서의 유사 역전 논리는 실패한 직사각형(박스) 패턴에서도 자주 관찰됩니다.)

💡 쉽게 말해, 신호가 두 번 무너졌다가 다시 살아나는 케이스라고 보시면 돼요

Triple Bust (삼중 붕괴)

조건 정리

  1. 이중 붕괴까지 진행됨
  2. 두 번째 상단 돌파 후 상승폭이 10% 미만
  3. 이후 다시 하단 붕괴 시, 세 번째 붕괴로 인정
📷 예시

상단-하단-상단-하단 이렇게 네 번을 왔다 갔다 하며 결국 세 번째 붕괴까지 가는 모습이에요. 여기서부터는 차트를 신뢰하기가 더 어려워지죠…

(수렴형 전반의 다중 실패 비교는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상승 삼각형 버스트를 참고하세요.)

🧠 중요 포인트!
이런 복수의 붕괴가 이어질 때는 단순한 기술적 분석만으로는 예측이 어려우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Double Bottoms의 통계 분석

미국 기술적 분석가들이 다룬 통계를 살펴볼게요~

💡 한마디로, 붕괴된 패턴은 더 깊게 빠질 가능성이 높아요.

(하단 이탈 뒤 상방 재돌파와 같은 ‘반전 랠리’는 삼각형 계열에서도 관측되니 하락 삼각형이라고 다 하락하진 않는다? 글도 함께 보면 좋아요.)

매매 전략

📷 예시
  1. 더블 바텀 패턴이 상단을 돌파하여 완성됨
  2. 그러나 상승폭은 10%를 넘지 못하고,
  3. 이후 하단을 무너뜨리며 붕괴 발생
  4. 붕괴 후 16.41달러에서 숏 포지션 진입 시,
  5. 주가는 8.56까지 떨어져 무려 48% 하락

📌 주의 사항

이 사례처럼 대폭락하는 경우도 있지만, 붕괴 후 평균 하락폭은 약 15% 정도로, 항상 큰 수익을 기대하면 안 된답니다

(상단 패턴 쪽 ‘실패를 활용한’ 비교 전략은 실패한 더블탑(Busted Double Top)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요.)

더블 바텀 패턴은 많은 투자자들이 추세 반전의 강력한 신호로 여기지만, 붕괴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셔야 해요. 특히 상승폭이 작고 다시 하락하면서 하단을 깨는 경우, 빠르게 대응하지 않으면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니까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위에 정리된 조건만 기억해두시면 누구나 차트를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