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한 직사각형(박스) 패턴 100% 이해하기|Busted Rectangles 사례와 통계

Homecandle

목차

  1. 실패한 직사각(박스)형 패턴의 정의
  2.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3.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4.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5. 실패한 직사각(박스)형 패턴의 성과 (Performance)
  6. 실전 트레이딩 전략
  7. 요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차트 패턴 중 하나인 직사각(박스)형(Rectangle) 패턴에서 실패하는 경우, 즉 실패한 직사각(박스)형(Busted Rectangle)에 대해 알아볼게요.

(버스트 개념의 큰 그림은 버스트 차트 패턴이란? 실패한 돌파에서 폭발적 반전이 나오는 이유를 먼저 보면 이해가 빨라요.)

직사각(박스)형 패턴은 주가가 일정 구간에서 상·하 변동 없이 박스권을 형성하다가, 어느 한쪽으로 돌파하는 전형적인 패턴이에요. 하지만 이 돌파가 10%를 넘기지 못하고 다시 반대 방향으로 넘어가는 경우, 이를 실패한 직사각(박스)형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이 패턴은 단순히 실패로 끝나는 게 아니라, 오히려 강력한 추세 전환 신호로 작용할 수 있어요

실패한 직사각(박스)형 패턴의 정의

  • 주가가 직사각(박스)형 패턴을 위 또는 아래로 돌파함.
  • 돌파 후 움직임이 10%를 넘지 않음.
  • 이후 되돌아와 직사각(박스)형 반대편 경계를 돌파하며 종가 마감.
  • 새로운 방향으로 10% 이상 진행 → 실패 패턴 완성.

💡 통계적으로 보면, 직사각(박스)형 상단에서 위로 돌파했지만 실패한 경우 평균 11% 하락, 하단 돌파 후 실패한 경우는 평균 49% 상승을 기록했다고 해요. 특히 싱글 실패 패턴에서는 최대 71% 상승률이 나왔다는 점이 주목할 만해요📈.

(수렴형 구간의 다중 실패 메커니즘은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됩니다.)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ed Rectangle)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실패예요.

🔍 진행 과정
  • A: 주가가 직사각(박스)형 위로 돌파 → 상승 시작.
  • B: 상승폭은 10% 이내.
  • C: 이후 다시 하락해 직사각(박스)형 하단 아래로 종가 마감 → 실패 발생.
  • 이후 하락폭이 10% 이상 이어지며 싱글 실패 패턴 완성.

📌 핵심은 돌파 후 10%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되려 반대 방향으로 강하게 전환된다는 점이에요.

(바닥형의 역전 사례와 비교하려면 실패한 더블 바텀을 참고해보세요.)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ed Rectangle)

두 번의 실패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예요.

🔍 특징
  1. C: 첫 번째 실패 발생 (하단 돌파).
  2. 이후 하락폭은 10% 미만 → 다시 반등.
  3. D: 직사각(박스)형 상단을 돌파하며 두 번째 실패 발생.
  4. 이후 10% 이상 상승 → 더블 실패 패턴 완성.

📌 더블 실패는 잦지 않지만, 나타날 경우 급격한 변동성이 동반될 수 있어요.

(상단 반전의 실패·재전환 로직은 실패한 더블탑에서도 비슷하게 작동합니다.)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ed Rectangle)

세 번 이상 실패가 이어지는 경우예요. 변동성이 큰 장세에서 종종 볼 수 있어요.

🔍 흐름
  • A: 하단 돌파 → 10% 미만 하락.
  • C: 반등해 상단 돌파 → 첫 번째 실패.
  • D: 다시 하락, 하단 돌파 → 두 번째 실패.
  • E: 재반등해 상단 돌파 → 세 번째 실패.

👉 이 경우 이후에도 10% 이상 움직이지 못하면 네 번째, 다섯 번째 실패로 이어질 수 있어요. 즉, 시장이 방향성을 잡지 못한 채 혼란스러운 흐름을 보여준다는 의미예요.

(삼각형 계열의 ‘반대 방향 재돌파’ 시나리오는 하락 삼각형 페이크아웃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요.)

실패한 직사각(박스)형 패턴의 성과 (Performance)

책에서 제시한 통계(상승장 기준, 직사각(박스)형 상단 돌파 후 실패 사례)

  • 전체 직사각(박스)형 상단 돌파 중 51%가 실패.
    • 66%는 싱글 실패
    • 3%는 더블 실패
    • 31%는 트리플 실패
  • 싱글 실패 패턴 평균 상승률: 71%
  • 실패하지 않은 직사각(박스)형 상단 패턴 평균 상승률: 51%

💬 결론적으로, 실패한 직사각(박스)형 패턴은 오히려 더 강한 상승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단순히 실패로만 해석해선 안 돼요.

(상단형 다중 고점의 실패 통계는 실패한 삼중 천장에서 비교해보면 의미가 또렷해져요.)

실전 트레이딩 전략

실패한 직사각(박스)형 패턴을 활용한 트레이딩 방법을 살펴볼게요.

📈 사례
  • 직사각(박스)형 패턴 발생 (2011년 6월).
  • A: 상단 돌파했지만 상승폭 10% 미만 → 실패.
  • C: 하단 종가 마감 → 본격적인 실패 확정.
  • 주가는 계속 하락해 18% 수익 기회 제공.

트레이딩 팁
  • 돌파 방향의 반대편 경계선을 기준으로 매매 주문을 걸어두기.
  • 실패가 확정되면 추세는 빠르게 이어지므로 짧은 손절선과 빠른 대응이 중요.
  • 직선적인 하락(또는 상승)이 나타날 때는 직전 캔들 고점/저점 기준 추세 추종 전략을 활용하면 효과적이에요.

(삼각형의 상방/하방 실패 활용은 각각 상승 삼각형 버스트실패한 대칭 삼각형에서 추가로 확인 가능합니다.)

오늘은 실패한 직사각(박스)형 패턴(Busted Rectangles)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 돌파 후 10% 이상 이어지지 못하면 반대 방향으로 전환.
  • 싱글, 더블, 트리플 실패 패턴으로 나뉘며, 특히 싱글 실패에서 강한 추세가 나타남.
  • 통계적으로 실패한 직사각(박스)형은 더 큰 상승세를 시사하는 경우가 많음.
  • 실전 트레이딩에서는 반대 방향 경계선을 활용한 매매 전략이 유용.

👉 직사각형(박스) 패턴을 볼 때는 단순히 돌파만 확인하지 말고, 실패 가능성과 그 이후의 기회까지 함께 고려하는 게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