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한 삼중 천장(트리플탑) 패턴 100% 이해하기|Busted Triple Tops 통계와 매매 전략

Homecandle

목차

  1. 실패한 삼중 천장 패턴의 정의
  2.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3.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4.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5. 실패한 삼중 천장 패턴의 통계
  6. 실전 트레이딩 전략
  7. 요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차트 패턴 분석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삼중 천장(Triple Top)이 실패하는 경우, 즉 실패한 삼중 천장(Busted Triple Tops)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참고: 버스트 개념 전체 흐름은 버스트 차트 패턴이란? 실패한 돌파에서 폭발적 반전이 나오는 이유 글을 먼저 보면 이해가 빨라요.)

보통 삼중 천장은 상승세의 끝에서 나타나며, 세 번의 고점 형성 후 지지선을 무너뜨리면 강력한 하락 반전 신호로 여겨져요.

(여기서 다중 고점 계열로 자주 비교되는 구조가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이니 함께 보면 패턴 간 차이를 더 명확히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가 그렇게 흘러가는 건 아닙니다. 일부는 하락이 이어지지 않고 10% 이내에서 멈춘 뒤, 반대로 고점을 돌파해 큰 상승세로 전환되는데, 이게 바로 실패한 삼중 천장 패턴이에요.

(반대로 바닥 쪽의 유사 현상은 실패한 삼중 바닥 패턴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실패한 삼중 천장 패턴의 정의

  • 주가가 삼중 천장의 최저점(세 고점 사이 골짜기 중 가장 낮은 지점) 아래로 종가 마감 → 패턴 확정.
  • 하지만 하락폭은 10% 미만.
  • 이후 주가가 반등하여 삼중 천장의 최고점 위로 종가 마감.
  • 상승이 이어져 10% 이상 추가 상승 → 실패 패턴 확정.

💡 통계적으로, 실패한 삼중 천장은 평균 42% 상승을 보였으며, 싱글 실패 패턴만 따로 보면 60% 상승이라는 강력한 결과를 보여줬습니다.

(유사한 ‘상단 붕괴 후 재상승’ 아이디어는 실패한 더블탑(Busted Double Top)에서도 반복적으로 관측됩니다.)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가장 전형적인 실패 사례예요.

🔍 진행 과정 (실제 사례)
  • A, B, C: 삼중 천장 형성.
  • F: 최저점 이탈, 종가 마감 → 패턴 확정.
  • D: 하락폭은 10% 미만.
  • E: 반등 후 삼중 천장 최고점 위 종가 마감 → 실패 발생.
  • 이후 10% 이상 상승 → 싱글 실패 패턴 완성.

👉 핵심은 하락이 10%를 넘지 못하고 곧바로 반등해 큰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점이에요.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두 번의 실패가 이어지는 경우예요.

🔍 진행 과정 (실제 사례)
  • A, B, C: 삼중 천장 형성.
  • D: 최저점 이탈, 종가 마감 → 패턴 확정.
  • E: 하락폭은 10% 미만.
  • F: 반등 후 최고점 위 종가 마감 → 첫 번째 실패.
  • 하지만 상승폭은 10% 미만.
  • G: 다시 하락해 최저점 이탈, 종가 마감 → 두 번째 실패.

📌 만약 첫 번째 반등이 10%를 넘었더라면 이 패턴은 싱글 실패로 분류됐을 거예요.

(이처럼 위·아래로 휘둘리는 구간에서는 삼각형 계열의 실패 패턴도 동반되기 쉬워요. 예: 하락 삼각형 페이크아웃, 상승 삼각형 버스트.)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세 번 이상 실패가 반복되는 경우예요.

🔍 진행 과정 (실제 사례)
  • A, B, C: 삼중 천장 형성.
  • D: 최저점 이탈, 패턴 확정.
  • E: 반등해 최고점 위 종가 마감 → 첫 번째 실패.
  • F: 다시 하락해 최저점 이탈 → 두 번째 실패.
  • G: 재반등하여 최고점 돌파 → 세 번째 실패.
  • 이후에도 추가적인 실패 사이클이 반복될 수 있음.

👉 이런 다중 실패 패턴은 시장이 명확한 방향성을 잡지 못하고 혼조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해요.

(대칭적 수렴 구간에서 이런 다중 실패가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으니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도 함께 참고하세요.)

실패한 삼중 천장 패턴의 성과 (Performance)

책에서 정리한 통계를 보면:

  • 전체 삼중 천장 중 43%가 실패.
    • 그중 67%는 싱글 실패
    • 3%는 더블 실패
    • 31%는 트리플 실패
  • 싱글 실패 패턴 평균 상승률: 60%
  • 실패하지 않은 삼중 천장(즉, 하락 전환에 성공한 경우)의 평균 상승률: 46%

💬 실패한 삼중 천장은 하락 신호가 무효화되는 것뿐 아니라, 오히려 더 큰 상승 추세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합니다.

(상단/하단 경계가 분명한 박스권에서는 실패한 직사각형(박스) 패턴으로도 유사한 역전 논리를 적용할 수 있어요.)

실전 트레이딩 전략

실패한 삼중 천장은 트레이딩에서 강력한 매수 신호가 될 수 있어요.

📈 실제 사례
  • A, B, C: 삼중 천장 형성.
  • D: 최저점 이탈, 종가 마감 → 패턴 확정.
  • 하락폭은 6%로 10% 미만.
  • E: 반등해 최고점 위 종가 마감 → 실패 발생.
  • 이후 주가는 1년 동안 상승, 최고 71% 수익 기회 제공.
전략 팁
  • 매수 진입: 삼중 천장 최고점 위 종가 마감(실패 확정 시점).
  • 손절 라인: 최저점 바로 아래.
  • 목표 수익: 최소 10% 이상, 추세가 이어지면 장기 보유도 가능.
  • 이동평균선(SMA)을 활용한 기계적 매매는 성과가 낮았음 → 추세 시작점과 타이밍이 훨씬 중요한 요소.

  • 삼중 천장이 형성되기 전, 추세 시작점이 최근(100일 이내)이면 실패 패턴의 성과가 훨씬 뛰어남.
  • 추세 시작점이 3개월 이내라면 평균 상승률이 37%였고, 그 이상 오래된 경우는 23%에 불과했음.

👉 즉, 실패한 삼중 천장은 신선한 추세 초입에서 나타날수록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의미예요.

(상단 돌파 실패·하단 붕괴 실패를 함께 관찰하면 시그널 신뢰도가 올라가는데, 관련해서는 상승 삼각형 버스트하락 삼각형 페이크아웃을 참고하세요.)

  • 전체 삼중 천장 중 43%가 실패.
  • 싱글, 더블, 트리플 실패로 나뉘며, 특히 싱글 실패는 평균 60% 상승.
  • 실패 패턴은 오히려 강력한 상승 신호가 될 수 있음.
  • 트렌드 시작 시점이 가까울수록 성공 확률이 높아짐.

👉 삼중 천장을 볼 때 단순히 하락 신호로만 받아들이지 말고, 실패 가능성과 그로 인한 상승 기회까지 고려한다면 훨씬 현명한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