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 패턴의 정의
-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의 성과 (Performance)
- 실전 트레이딩 전략
- 요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차트 분석에서 자주 등장하는 헤드앤숄더 탑 패턴(Head-and-Shoulders Top) 중에서 실패형, 즉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Busted H&S Top)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버스트 개념의 큰 그림은 버스트 차트 패턴이란? 실패한 돌파에서 폭발적 반전이 나오는 이유를 먼저 보면 더 명확해요.)
보통 헤드앤숄더 탑은 하락 반전 신호로 잘 알려져 있죠. 하지만 때로는 하락폭이 10%를 넘지 못한 채 되돌아오고, 이후 고점을 넘어 강하게 상승하는 경우가 있어요. 이게 바로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이에요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 패턴의 정의
이 패턴은 이렇게 정리할 수 있어요.
- 가격이 넥라인 아래로 종가 마감하면서 하락 돌파가 일어남.
- 하지만 하락폭이 10% 이하에 그침.
- 이후 다시 반등해 패턴의 가장 높은 지점(머리의 꼭대기) 위로 종가 마감.
- 추가로 10% 이상 상승하면서 본격적인 실패 패턴으로 인정됨.
(유사한 상단 실패 논리는 실패한 삼중 천장(트리플탑)과 실패한 더블탑에서도 반복적으로 관찰돼요.)
💡 통계적으로 보면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은 평균 35% 상승했고, 그중 싱글 실패 패턴의 평균 상승폭은 무려 67%에 달했어요.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가장 전형적인 실패 패턴이에요.
🔍 진행 과정
- A: 주가가 넥라인 아래로 종가 마감 → 하락 돌파, 패턴 확정.
- B: 하락폭이 10% 이내에서 멈춘 뒤, 곧바로 반등하여 머리 위로 종가 마감.
- C: 이후 주가가 고점 대비 10% 이상 추가 상승.
👉 이 경우 단일 실패 패턴으로 완성되며, 이후 강력한 상승세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요.
(박스권에서도 비슷한 ‘하단 붕괴 → 상단 재돌파’ 역전이 자주 나와요: 실패한 직사각형(박스) 패턴 참고)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두 번에 걸쳐 실패가 반복되는 경우예요.
🔍 흐름
- A: 넥라인 아래 종가 마감 → 하락 돌파, 패턴 성립.
- B: 하락폭이 10% 이내에서 제한된 뒤, 다시 반등해 머리 위로 종가 마감 → 첫 번째 실패.
- C: 그러나 상승폭은 10% 미만에 그치고 다시 하락 → 패턴 바닥 아래로 종가 마감 → 두 번째 실패.
- D: 이후 추가 하락으로 10% 이상 떨어지며 더블 실패 패턴 완성.
📌 더블 실패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나타날 경우 상·하락의 반복으로 큰 변동성이 동반돼요.
(삼각형 계열에서도 유사한 ‘반대 방향 재돌파’가 확인돼요: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세 번 이상 실패가 나타나는 경우인데요, 굉장히 희귀하지만 변동성이 큰 장세에서는 발생하기도 해요.
🔍 진행 과정
- A: 넥라인 돌파 → 하락 시작.
- B: 고점 돌파 → 첫 번째 실패.
- C: 다시 하락, 바닥 아래로 종가 마감 → 두 번째 실패.
- D: 다시 반등해 고점 위 종가 마감 → 세 번째 실패.
📌 만약 이 반등 이후에도 10% 이상 상승하지 못하면, 추가적인 네 번째, 다섯 번째 실패까지 이어질 수 있어요. 이런 상황에서는 시장이 방향성을 잃고 혼조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답니다.
(상승·하락 삼각형의 실패 사례를 같이 보면 변동성 구간 해석이 쉬워져요: 상승 삼각형 버스트, 하락 삼각형 페이크아웃)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의 성과 (Performance)
통계를 보면:
- 전체 헤드앤숄더 탑 패턴 중 32%가 실패.
- 그 중 67%는 싱글 실패
- 3%는 더블 실패
- 30%는 트리플 실패
- 싱글 실패 패턴의 평균 상승률: 67%
- 실패하지 않은 일반적인 패턴의 평균 상승률: 45%
즉, 실패 패턴이 나타나면 오히려 더 강한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 특징이에요.
(수렴형·레인지형과의 성과 비교도 유익해요: 실패한 대칭 삼각형, 실패한 직사각형 패턴)
실전 트레이딩 전략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은 단순한 패턴 오류가 아니라 강력한 매수 신호가 될 수 있어요.
📈 사례
- A: 넥라인 하향 돌파로 패턴 확정.
- B: 하락은 10% 미만에서 멈춤.
- C: 머리 위로 종가 마감 → 실패 확정.
- 이후 새로운 고점을 향해 상승세 지속.
✅ 전략 팁
- 매수 주문은 머리 고점 바로 위에 걸어두기 → 자동 진입 가능.
- 목표 수익은 고점 대비 최소 10% 이상.
- 상승세가 이어지면 일부 익절 + 추세 지속 시 추가 수익 노려보기.
(바닥형의 반대 시나리오도 함께 보면 리스크·보상 구조가 또렷해져요: 실패한 삼중 바닥)
오늘은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 패턴(Busted Head-and-Shoulders Tops)에 대해 살펴봤어요.
- 실패 확률: 약 32%
- 싱글 실패의 평균 상승폭: 67%
- 실패 패턴은 단순 오류가 아닌 강력한 상승 신호로 해석 가능
차트 분석 시, 헤드앤숄더 탑이 반드시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믿기보다는, 실패 가능성과 그로 인한 상승 반전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 이것이 오늘의 핵심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