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 삼각형이라고 다 하락하진 않는다? '실패한 패턴'으로 수익 내는 법

Homecandle

목차

  1. 실패한 하락 삼각형이란?
  2.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3.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4.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5. 통계로 보는 실패한 하락 삼각형패턴
  6. 실전 트레이딩 전략
  7. 요약

오늘은 하락 삼각형(Busted Descending Triangle)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려고 해요

‍보통 우리가 기술적 분석에서 ‘하락 삼각형’이라고 하면,“오, 이건 하락 신호니까 조심해야지!” 라고 반응하잖아요?

그런데 이 패턴, 예상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가격이 움직일 때도 많답니다!‍

이런 걸 패턴이 깨졌다(Busted)라고 부르는데요,이 ‘깨짐(실패한)’ 현상이 실제로는 꽤 자주 발생하고,심지어 기존 패턴보다 더 좋은 수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오늘은 그 부분을 풍부하게 풀어드릴게요

(개념 전체 흐름은 버스트 차트 패턴이란? 실패한 돌파에서 폭발적 반전이 나오는 이유를 먼저 보면 더 빨라요.)

실패한 하락 삼각형이란?

우선 하락 삼각형(Descending Triangle)부터 다시 정리해볼게요.

하락 삼각형은 주가가 수평선 지지라인과 하향 추세선 사이에서 수렴하다가,보통은 하단 이탈(하락)을 통해 추세가 이어진다고 보는 전형적인 패턴이에요.‍

하지만 Bulkowski 선생님의 연구에 따르면,이탈 직후 주가가 방향을 바꿔 다시 반대편으로 돌파하고10% 이상 움직인다면 이건 단순한 ‘하락 삼각형’이 아니라 실패한 패턴으로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삼각형 계열의 반대 케이스는 상승 삼각형 버스트에서도 유사하게 관찰돼요.)

핵심 기준

첫 방향으로 10%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반대 방향으로 이동해삼각형의 반대쪽 경계를 종가 기준으로 돌파하고그 반대 방향으로 10% 이상 추가 진행 시 → 실패한 하락 삼각형!

(수렴형 전반의 비교는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 글 참고)

1.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예시: 단일 실패 (Single Bust)

패턴 형성: 파란색 추세선으로 구성된 하락 삼각형

하단 이탈: A 지점에서 주가가 삼각형 아래로 이탈하며 하락 시작

반전 발생: 하지만 하락폭은 작았고, 곧바로 반등

상단 돌파: B 지점에서 삼각형의 상단(붉은 선)을 종가 기준으로 돌파

10% 이상 상승: 돌파 이후 주가는 계속 올라, 결과적으로 상당한 상승률을 기록합니다

→ 이건 ‘하락’처럼 보였지만, 실은 ‘강한 매수 기회’였던 거예요!

(바닥형의 유사 실패·역전 개념은 실패한 삼중 바닥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요.)


‍‍요건

1. 하락 삼각형에서 하단 돌파 발생 (A 지점)

3. 10% 이하만 하락 후 반전

4. 다시 상단 돌파 (B 지점)

5. 이후 10% 이상 상승 시 ➡ 단일 깨짐(실패) 확정

2.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예시: 이중 실패 (Double Bust)

이번에는 복잡한 흐름이에요.

  • 상단 돌파로 상승 시작 (A)
    → 하지만 상승폭은 크지 않았고,
  • B 지점에서 하단 돌파 발생
    → 이때 하락폭도 10% 미만
  • 다시 반등하여 C 지점에서 상단 재돌파
    → 이 후에는 10% 이상 상승하며 강한 반등 진행

정리하면:
  • 첫 돌파는 위쪽으로
  • 그 후 아래쪽으로 꺾이며 1차 실패
  • 다시 상승하여 상단 재돌파 → 2차 실패
  • 그 후 상승폭이 10%를 넘으면 ➡ 이중 실패

(레인지 국면의 역전 논리는 실패한 직사각형(박스) 패턴에서도 자주 보입니다.)

3.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예시: 삼중 실패 (Triple Bust)

사례는 정말 흥미로운 흐름이에요!

  • A 지점: 하락 삼각형의 상단을 돌파하며 상승 시작
  • B 지점: 다시 하락해 하단 이탈 → 1차 실패
  • C 지점: 재상승하여 상단 재돌파 → 2차 실패
  • 그러나 아직도 10% 미만
  • D 지점: 다시 하락하며 하단 재이탈 → 3차 실패

이런 식으로 삼각형 위·아래를 왔다 갔다 하면서
여러 번의 ‘패턴 붕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게 핵심입니다.

→ 결국 진짜 방향은, 이 '혼란의 끝'에서 결정돼요.
이런 경우는 특히 단기 매매보다 추세 확인 후 대응이 중요하겠죠~

(다중 실패의 비교군은 실패한 삼중 천장도 함께 보세요.)

성과와 통계 분석 (실제 데이터)

650개의 하락 삼각형 패턴 중, 276개의 실패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아요:

깨진(실패) 패턴이 오히려 일반 패턴보다 평균 수익률이 더 높다는 사실!
무작정 ‘패턴 = 추세지속’이라고 믿으면 큰일이에요~

(상단형/수렴형의 역전 통계 비교는 상승 삼각형 버스트실패한 대칭 삼각형에서 확인)

실전 트레이딩 전략

예시

이 사례는 깨진(실패) 패턴을 어떻게 매매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 2010년 12월: FDO에 하락 삼각형 출현
  • A 지점: 하단 이탈로 하락 시작
  • 이틀 뒤 상승 갭 발생 → 상단을 종가 기준으로 돌파 (B 지점)
  • 만약 B 지점에서 매수했다면?
    → 매수 가격: 약 $30.20

그 후 주가는 이렇게 움직였어요:

  • 첫 고점: $42.03
  • 조정 후 재상승: $51.81
  • 최종 고점: $56.92 📈

수익률 정리:

  • 5월에 매도했다면: +39%
  • 그냥 계속 들고 있었으면: +88%

결국, 깨짐(실패) 패턴을 통해 반전 매수 포인트를 잡을 수 있었다는 뜻이에요~

(상단 패턴의 실패를 활용한 비교 전략은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도 참고할 만해요.)

‘실패한 하락 삼각형’은 단지 미국 주식에서만 나타나는 게 아니에요.
코스피, 코스닥에서도 동일한 흐름이 자주 등장하죠.

포인트 요약
  • 하락 삼각형 = 무조건 하락? ❌
  • ‘깨짐(실패)’ 여부를 체크하면 반전 기회 발견 가능
  • 종가 기준 돌파 + 10% 이상 움직임을 확인하세요
  • 그리고 거래량과 시가총액, 뉴스 흐름도 함께 체크해야 성공 확률이 높아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