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패한 대칭 삼각형 (삼각수렴)패턴의 정의
-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 실패한 대칭 삼각형 (삼각수렴)패턴의 통계
- 실전 트레이딩 전략
- 요약
안녕하세요~
오늘은 차트 패턴 중 하나인 대칭 삼각형(삼각수렴)(Symmetrical Triangle)이 실패하는 경우, 즉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 패턴(Busted Symmetrical Triangles)에 대해 다뤄볼게요.
대칭 삼각형(삼각수렴)은 일반적으로 수렴 후 한쪽 방향으로 돌파하는 패턴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간혹 돌파가 10% 이상 이어지지 못하고 반대로 넘어가면서 예상과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주기도 해요. 이런 경우가 바로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입니다.
(개념 전체 흐름은 먼저 버스트 차트 패턴이란? 실패한 돌파에서 폭발적 반전이 나오는 이유를 보면 이해가 더 빨라요.)
실패한 대칭 삼각형 (삼각수렴)패턴의 정의
- 가격이 삼각형의 상단 혹은 하단을 돌파하여 패턴이 확정됨.
- 하지만 돌파 후 움직임이 10% 이내에 그침.
- 이후 가격이 반대로 되돌아와 삼각형 반대편을 돌파하며 종가 마감.
- 새로운 방향으로 10% 이상 진행 → 실패 패턴 완성.
💡 참고: 연구에서는 삼각형의 위·아래 꼭짓점 가격(상단/하단)을 기준으로 실패 여부를 판단했어요. 초기 돌파는 추세선을 기준으로 하지만, 실패 판정은 상단·하단 돌파 여부로 확인합니다.
📊 통계에 따르면 상승장(Bull Market)에서 하락 돌파된 대칭 삼각형의 48%가 실패로 이어졌다고 해요.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가장 전형적인 실패 사례예요.
🔍 진행 과정 (Albemarle 사례)
- A: 가격이 삼각형을 하단 돌파 → 하락 시작.
- B: 하지만 하락폭은 10% 미만.
- C: 다시 반등하여 삼각형 상단을 돌파, 종가 마감 → 실패 발생.
- D: 이후 10% 이상 상승 → 싱글 실패 패턴 완성.
👉 이 경우 초기 돌파가 무효화되며 강력한 상승세가 나타날 수 있어요. 유사한 ‘상단 돌파 실패 후 랠리’는 상승 삼각형이 깨진 뒤의 버스트에서도 자주 관찰됩니다.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두 번의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예요.
🔍 진행 과정 (Tredegar 사례)
- A: 대칭 삼각형 돌파 발생.
- B: 돌파 후 움직임이 10% 미만.
- C: 다시 반대 방향으로 종가 마감 → 첫 번째 실패.
- 이후 하락폭도 10% 미만 → 재반등.
- D: 상단을 돌파하며 두 번째 실패 발생.
- 상승폭이 10% 이상 이어지며 더블 실패 패턴 완성.
📌 핵심은 두 번의 짧은 움직임 이후 방향이 최종 확정된다는 점이에요. 변동성이 큰 구간에서는 박스권에서도 비슷한 역전 논리가 보이니 실패한 직사각형(박스) 패턴도 참고하세요.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세 번 이상 실패가 이어지는 경우예요. 변동성이 극심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진행 과정 (Fresh Del Monte Produce 사례)
- A: 상단 돌파 → 상승 시작.
- B: 10% 미만 상승.
- C: 하락하여 하단 돌파 → 첫 번째 실패.
- D: 반등 후 상단 돌파 → 두 번째 실패.
- E: 다시 하락해 하단 돌파 → 세 번째 실패.
👉 만약 이후 움직임도 10% 이내라면 네 번째, 다섯 번째 실패까지 반복될 수 있어요. 이때 시장은 명확한 방향성을 잡지 못하고 혼조세에 빠지게 됩니다. 참고로 상단·하단 다중 실패의 개념은 다중고점/다중바닥에서도 관측되니 실패한 삼중 천장과 실패한 삼중 바닥도 함께 보면 좋아요.
실패한 대칭 삼각형 (삼각수렴)패턴의 통계
통계를 요약하면:
- 전체 대칭 삼각형의 48%가 실패.
- 그 중 67%는 싱글 실패
- 6%는 더블 실패
- 28%는 트리플 실패
- 싱글 실패 패턴의 평균 상승률: 52%
- 실패하지 않은 대칭 삼각형의 평균 상승률: 34%
💬 즉, 실패한 대칭 삼각형은 오히려 더 큰 상승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해요. 비슷한 상단 패턴의 역전 로직은 실패한 더블탑(Busted Double Top)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전 트레이딩 전략
실패한 대칭 삼각형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 사례
- A: 삼각형 하단 돌파로 하락 시작.
- B: 하락폭이 10% 미만, 이후 반등해 상단 돌파 → 실패 발생.
- 이후 C까지 상승하며 강한 랠리 발생.
✅ 전략 팁
- 상단 돌파 후 종가 마감 시 매수 진입.
- 매수 시점: 실패 확정 후(즉, 반대 방향 돌파 종가 마감 직후).
- 목표 수익: 최소 10% 이상, 트렌드가 이어진다면 장기 보유 전략도 가능.
- 리스크 관리: 직전 저점을 손절 라인으로 설정.
👉 실제 사례에서는 매수 가격이 4.25였고, 이후 최고점 6.41까지 올라 무려 51% 수익을 기록할 수 있었어요.
한편, 하락 돌파가 무산되고 재상승으로 전환되는 시나리오는 하락 삼각형 페이크아웃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오늘은 실패한 대칭 삼각형 (삼각수렴)패턴(Busted Symmetrical Triangles)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 돌파 후 10% 이상 이어지지 못하면 반대 방향으로 전환.
- 싱글, 더블, 트리플 실패로 나뉘며, 특히 싱글 실패에서 강력한 추세가 발생.
- 통계적으로 실패 패턴은 더 큰 상승률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
- 실전에서는 실패 확정 시점에서 진입하는 전략이 효과적.
👉 대칭 삼각형(삼각수렴) 패턴을 볼 때는 단순히 돌파만 확인하지 말고, 실패 가능성과 그로 인한 반전 기회까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