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 삼각형이 깨지면 벌어지는 일들… 실전 예시와 통계까지 분석!

Homecandle

목차

  1. 상승 삼각형이란?
  2.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3.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4.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5. 통계로 보는 실패한 상승 삼각형패턴
  6. 실전 트레이딩 전략
  7. 요약

상승 삼각형(ascending triangle)이란?

상승 삼각형(ascending triangle)은 가격이 어느 방향으로든 돌파할 수 있어요.
그러나 돌파 이후 가격이 10% 이상 상승(또는 하락)하지 못한 채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가 삼각형의 반대편 경계선을 종가 기준으로 돌파할 경우, 이 차트 패턴은 깨졌다고(busted) 봅니다.

(버스트 개념의 전체 흐름은 버스트 차트 패턴이란? 실패한 돌파에서 폭발적 반전이 나오는 이유를 함께 보면 이해가 빨라요.)

📉 강세장(bull market)에서는:

  • 상방 돌파 후 하방 깨짐의 경우 평균 13% 하락
  • 하방 돌파 후 상방 깨짐의 경우 평균 36% 상승

하지만 단 한 번만 깨지는 경우에는 이보다 더 큰 움직임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싱글 실패 패턴 (Single Bust)

📷 차트 예시

차트에선 빨간 추세선으로 상승 삼각형이 그려져 있고, A 지점에서 상단 추세선을 돌파하며 패턴이 확정돼요.
하지만 가격은 멀리 가지 못하고 곧 반전하여 B 지점에서 삼각형의 하단을 종가 기준으로 돌파합니다.

(삼각형 계열의 반대 케이스는 하락 삼각형 페이크아웃에서도 자주 관찰돼요.)

이 경우, 단일 깨진 상승 삼각형(single busted ascending triangle)이 형성됩니다.

✔ 단일 깨짐의 조건:
  1. 가격이 상승 삼각형의 상단 혹은 하단을 종가로 돌파 (예: A 지점)
  2. 돌파 후 10% 이상 움직이지 못함
  3. 상방 돌파의 경우, 이후 하단을 종가 기준으로 이탈 (또는 하방 돌파 후 상단 이탈)
  4. 새로운 방향으로 10% 이상 움직임

🔍 마지막 조건(4번)이 충족되지 않으면 이중 깨짐(double bust)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블 실패 패턴 (Double Bust)

📷 차트 예시

이 차트에서는 상승 삼각형이 빨간 추세선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요.
A 지점에서 하단 추세선을 종가 기준으로 이탈하면서 하방 돌파가 발생하고, 이후 가격이 B 지점까지 반등해 삼각형 상단을 종가로 돌파하면서 1차 깨짐이 일어나요.

그 후 E 지점까지 상승하지만 이는 삼각형 내 최고점보다 10% 미만 상승입니다.
이후 가격은 하락하여 C 지점에서 삼각형 최저점을 종가로 돌파하면서 2차 깨짐이 발생합니다.

(레인지 구간에서도 비슷한 역전 논리가 보이니 실패한 직사각형(박스) 패턴도 참고하세요.)

✔ 이중 깨짐의 조건:
  1. 상승 삼각형이 돌파된 후 첫 번째 깨짐 발생
  2. 첫 깨짐 이후 움직임이 10% 미만
  3. 상방 돌파 후 하단을 종가로 돌파하거나, 하방 돌파 후 상단을 돌파
  4. 새로운 방향으로 10% 이상 움직임

❗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삼중 깨짐(triple bust)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트리플 실패 패턴 (Triple Busts)

📷 차트 예시

차트 왼쪽에는 얇은 파란 선으로 상승 삼각형이 표시되어 있고, A 지점 이후 가격이 하단 추세선을 이탈하며 첫 돌파가 발생합니다.
가격은 B 지점까지 하락했다가 반등하여 C 지점에서 상단을 종가 기준으로 돌파하며 첫 번째 깨짐이 발생해요.

그 다음 D 지점까지 상승하지만 이는 10% 미만 상승입니다. 다시 E 지점으로 하락하면서 하단 추세선을 종가 기준으로 이탈하며 두 번째 깨짐이 발생해요.

이때도 하락폭이 10% 미만이라면?
G 지점까지 반등하여 다시 상단을 종가로 돌파하면 세 번째 깨짐이 완성됩니다.

(다중 실패 개념은 다중고점/다중바닥에서도 관측되니 실패한 삼중 천장실패한 삼중 바닥도 함께 보세요.)

✔ 삼중 (또는 그 이상) 깨짐의 조건:
  1. 이중 깨짐 발생
  2. 두 번째 깨짐 이후에도 10% 이상 움직이지 못함
  3. 다시 반대 방향으로 경계를 종가로 돌파하며 3차 깨짐
  4. 이후 10% 이상 움직이지 못하면, 반복적으로 더 많은 깨짐이 발생할 수 있음

📌 즉, 패턴이 계속 반복적으로 깨질 수 있다는 뜻이에요~

성과 분석 (Performance)

📊 상승 삼각형에서 하방 돌파(→ 상방 깨짐)된 경우 기준 통계:

  • 전체의 46%가 깨짐
    • 그 중 67%가 단일 깨짐
    • 5%가 이중 깨짐
    • 29%가 삼중 깨짐

단일 깨짐 시 평균 상승률: 51%
깨지지 않은 패턴의 평균 상승률: 43%

👉 의외로 깨진 패턴의 수익률이 더 높을 수 있다는 사실!

(상단형 역전 통계는 실패한 더블탑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돼요. 삼각 수렴 군과의 비교는 실패한 대칭 삼각형(삼각수렴) 참고.)

트레이딩 전략 (Trading)

📷 차트 예시

이 종목은 2010년 12월에 상승 삼각형을 형성했고, A 지점에서 하방 돌파가 나타나요.
이후 가격이 반등하여 삼각형 상단을 종가 기준으로 돌파하면서 패턴이 깨집니다(C 지점)

✔ 진입 전략:
  • 삼각형 상단보다 1센트 위에 매수 주문을 걸면 B 지점(34.00달러)에서 매수 가능
  • C 지점에서 종가 돌파를 확인 후, 다음 날 시가에 진입하면 35.60달러에서 매수

💡 종가 확인 후 진입하는 것이 더 안전한 선택입니다.

(상방/하방 돌파 뒤 되돌림을 비교 관찰하려면 실패한 헤드앤숄더 탑도 도움이 돼요.)

이후 가격은 강한 상승을 보이며 D 지점(41.58달러)까지 도달해요.
시장 고점보다 2주 정도 뒤에 최고가를 형성했고, 이후 5개월 만에 주가는 30달러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 이상적인 매매 기준:
  • B에서 매수 → D에서 매도: 22% 수익
  • C 다음 날 시가에 매수 → D에서 매도: 17% 수익

  • "Ascending Triangle(상승 삼각형)": 아래쪽은 점점 높아지는 추세선, 위쪽은 고정된 저항선으로 구성된 차트 패턴이에요.
  • "Bust(깨짐)": 돌파 후 방향을 유지하지 못하고 반대 방향으로 이탈하는 걸 뜻해요.
  • "Confirmed breakout(확정 돌파)": 종가 기준으로 삼각형 경계를 넘는 것. 일시적 이탈은 무시해요.
  • "Close(종가)": 당일 거래가 마감되는 가격으로, 기술적 분석에서는 굉장히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