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지그재그(Zigzag)란?
- 지그재그 파동의 내부 구조
- 지그재그의 주요 규칙과 가이드라인
- 단일 지그재그 (Single Zigzag)
- 더블 지그재그 (Double Zigzag)
- 트리플 지그재그 (Triple Zigzag)
- 지그재그와 다른 패턴 구분하기
- 마무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자주 등장하는 조정 패턴, 지그재그(Zigzag) 에 대해 깊이 있게 풀어드리려고 해요.
지그재그는 단순히 “ABC”라고만 외워두면 차트에서 잘 구분이 안 되실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단일 지그재그, 더블 지그재그, 트리플 지그재그까지 실제 규칙과 실전 포인트를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초보자분들도 이해하시도록, 복잡한 부분은 쉽게 풀어 설명해드리니 끝까지 같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지그재그(Zigzag)란?
지그재그는 엘리어트 파동의 조정 패턴 중 가장 기본적인 형태예요.
- 기본 구조: A-B-C 3파동 (5-3-5 구조)
- 특징: 빠르고 날카롭게 추세를 되돌리는 성격이 강해요.
- 등장 위치: 2파에서는 빈번, 4파에서는 드뭄, B파/X파에서 나타날 수 있어요(복합 교정 내 구성)
즉, 지그재그는 단순하면서도 어디서든 나올 수 있는 “차트 속 단골손님” 같은 패턴이에요.
지그재그 파동의 내부 구조
지그재그의 내부는 이렇게 구성돼요:
- A파 → 임펄스(Impulse) 또는 리딩 다이아고날(Leading Diagonal)
- B파 → 모든 교정파 패턴이 가능 (지그재그, 플랫, 삼각형, 복합 패턴 등)
- C파 → 임펄스 또는 엔딩 다이아고날(Ending Diagonal)
여기서 중요한 규칙이 있어요:
- 지그재그에서 A는 임펄스 또는 리딩 다이아고날, C는 임펄스 또는 엔딩 다이아고날이 될 수 있어요.
- 만약 A에서 다이아고날이 나오면, C는 반드시 임펄스로 나와야 해요.
- 반대로 A가 임펄스라면, C는 엔딩 다이아고날이 될 수도 있어요.
즉, 지그재그에서는 A나 C 중 하나는 무조건 임펄스여야 한다는 원칙을 꼭 기억하셔야 해요
지그재그의 주요 규칙과 가이드라인
기본 규칙
- 지그재그는 항상 5-3-5 구조예요.
- B파는 A파의 시작점을 넘을 수 없어요. (100% 이상 되돌림 금지)
- 지그재그의 C는 일반적으로 A의 끝을 넘어 마감합니다. (드물게 절단형으로 짧게 끝나요.)
피보나치 비율 관계
- B파 되돌림: A의 38%~78%**가 가장 흔한 가이드라인이며, 100% 초과는 규칙 위반입니다.
- C파 목표치:
- 가장 흔한 건 C = A (동일 길이)
- 대표 목표는 C=A, 다음으로 C≈1.618×A, C≈1.236×A(실무적으로 1.236을 많이 씁니다).
단일 지그재그 (Single Zigzag)
가장 기본적인 패턴으로, 단순히 ABC 세 파동으로 끝나는 구조예요.
- 상승장에서의 지그재그: 하락 조정 ABC
- 하락장에서의 지그재그: 상승 조정 ABC (역지그재그)
특징: 빠르고 날카롭기 때문에 조정파동 중에서도 단기 강한 반대 움직임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아요.
더블 지그재그 (Double Zigzag)
단일 지그재그 하나로는 조정이 부족할 때, 지그재그 두 개를 X파로 연결한 형태예요.
- 구조: W-X-Y
- W와 Y는 각각 ABC 지그재그
- X는 단순한 조정파(짧은 교정파)
규칙:
- X파는 W의 시작점을 넘어갈 수 없어요.
- Y파는 반드시 W의 끝을 넘어야 해요.
- X파는 세 연결파 중 하나인 얕은 교정으로 나타나며 대체로 38%~61.8% 되돌림이 흔해요
실전 팁:
차트에서 “아직 조정이 충분하지 않은 것 같은데?” 싶을 때, 더블 지그재그가 이어질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 좋아요.
트리플 지그재그 (Triple Zigzag)
더블로도 부족할 때, 세 번 반복되는 형태예요. 흔하지는 않지만 가끔 시장이 복잡하게 움직일 때 나타나요.
- 구조: W-X-Y-XX-Z
- W, Y, Z → 각각 ABC 지그재그
- X, XX → 연결하는 교정파
규칙:
- XX파는 Y의 시작점을 넘어갈 수 없어요.
- Z파는 반드시 Y의 끝을 넘어야 해요.
- XX파도 보통 Y의 50% 이내에서 되돌림을 마쳐요.
트리플 지그재그는 총 11개의 파동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보기만 해도 복잡하지만, 원리는 지그재그를 단순 반복한다는 거예요.
트리플 지그재그(W-X-Y-XX-Z)는 하위 차수 기준 11스윙(A-B-C-X-A-B-C-X-A-B-C)로 인식합니다.
지그재그와 다른 패턴 구분하기
초보자분들이 가장 많이 헷갈리는 게 “이게 1-2-3 임펄스인지, 아니면 A-B-C 지그재그인지”예요.
구분 포인트는 이래요:
- A가 임펄스일 때 내부 1-4 오버랩은 금지지만, 전체(외부) 구조상 B가 A를 되돌리며 가격 영역이 겹쳐 보일 수 있어요.
- 지그재그의 A파는 보통 임펄스의 1파보다 짧고 빠르게 끝나요.
- 지그재그 전체는 완만한 채널을 그리면서 흘러가지만, 임펄스의 1-2-3은 훨씬 가파른 각도로 전개돼요.
실제 차트에서 자주 보이는 경우
- 상승 추세의 2파 조정: 거의 대부분 지그재그예요.
- 4파 조정: 지그재그보다는 플랫이나 삼각형이 많아요.
- B파: 플랫 안에서 A-B-C의 일부로 등장하거나, 삼각형 안에서도 볼 수 있어요.
- 복합 조정(W-X-Y): W, Y가 지그재그로 구성되는 경우가 흔해요.
지그재그를 이해하면 조정이 보인다
- 지그재그 = 5-3-5 ABC 구조
- 단일, 더블, 트리플로 확장 가능
- A·C는 임펄스나 다이아고날, B는 어떤 교정도 가능
- B파는 A 시작점을 넘을 수 없음
- C파는 대부분 A 끝을 돌파
지그재그는 단순하지만 응용 범위가 넓고, 차트 곳곳에서 자주 등장해요. 특히 2파 조정에서 많이 나오니, 이 패턴을 제대로 이해하시면 매매 타이밍을 잡는 데 큰 도움이 되실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