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조정 패턴 쉽게 이해하기: 엘리어트 파동 더블 쓰리 & 트리플 쓰리 설명

Homeelliott wave

목차

  1. 더블 쓰리(Double Three) 패턴이란?
  2. 더블 쓰리의 주요 특징
  3. 더블 쓰리의 대표적인 조합
  4. 더블 쓰리의 피보나치 비율
  5. 트리플 쓰리(Triple Three) 패턴이란?
  6. 트리플 쓰리의 주요 특징
  7. 트리플 쓰리의 대표적인 조합
  8. 트리플 쓰리의 피보나치 비율
  9. 더블 쓰리 vs 트리플 쓰리: 어떻게 구분할까?
  10. 마무리

안녕하세요 :)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서 가장 헷갈리지만 중요한 복합 조정 패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흔히 더블 쓰리(Double Three, WXY), 트리플 쓰리(Triple Three, WXYXZ) 라고 불리는 이 패턴들은 초보자분들이 파악하기 쉽지 않지만, 전체 파동 구조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답니다

특히 이 글에서는 한국 투자자분들과 초보자분들이 더 이해하기 쉽도록, 원문의 내용을 살리면서도 친절한 설명을 추가해드릴게요. 단순 요약이 아니라 풍성한 해설을 담았으니, 차근차근 따라와 주세요

더블 쓰리(Double Three) 패턴이란?

더블 쓰리는 이름 그대로 두 개의 조정 파동이 결합된 패턴이에요. 단순히 지그재그, 플랫(평탄형), 트라이앵글 같은 단일 조정이 아닌, 두 가지가 합쳐져서 더 복잡해진 형태죠.

보통 W-X-Y로 표기하며, 총 7개의 파동(스윙)으로 구성돼요.

  • W 파동: 첫 번째 조정 구조 (지그재그, 플랫 등)
  • X 파동: X 파동은 어떤 교정 형태도 가능한 연결파입니다(지그재그가 흔한 편)
  • Y 파동: 두 번째 조정 구조

👉 여기서 중요한 건, 더블 쓰리 패턴은 주로 옆으로(horizontal) 진행된다는 점이에요. 즉, 큰 폭으로 깊이 조정하기보다는 옆으로 길게 늘어지는 조정을 의미한다고 이해하면 좋아요~

더블 쓰리의 주요 특징

  • 파동 구조: W-X-Y (3개의 구간, 총 7스윙)
  • W, Y 파동의 형태: 지그재그, 플랫, 더블/트리플 쓰리(소규모), 트라이앵글 가능
  • X 파동의 형태: 어떤 조정 형태든 가능 (보통 지그재그가 많음)
  • 출현 위치: 더블/트리플 쓰리 전체 패턴은 보통 4파·B파에서 나타납니다. X파는 ‘연결’ 역할의 단일 교정파로, 조합의 일부(연결)로 출현한다는 의미로 적어 주세요

더블 쓰리의 대표적인 조합

  1. 지그재그 + 트라이앵글, 플랫 + 트라이앵글은 흔히 관찰되는 조합입니다
  2. 지그재그 + 플랫 (드물지만 존재)
  3. 플랫 + 플랫 (비슷한 패턴이 이어짐)
  4. 플랫 + 지그재그 (역순 조합)
  5. 플랫 + 트라이앵글 (역시 흔한 조합)

더블 쓰리의 피보나치 비율

  • X파동은 보통 W파동의 50%, 61.8%, 76.4%, 85.4% 되돌림
  • Y파동W파동의 61.8%, 100%, 123.6% 되돌림
  • 단, Y파동은 W파동의 161.8%를 넘을 수 없음 (넘으면 다른 패턴일 가능성이 높음)

👉 상위 추세파의 규칙과 비율 감각을 함께 보면 더 정확해져요: 엘리어트파동 상승파동 5가지 규칙과 활용

👉 트라이앵글은 조합(Combination)에서 ‘마지막 컴포넌트’로만 허용됩니다. 더블 쓰리라면 Y, 트리플 쓰리라면 Z에서 등장할 수 있어요

트리플 쓰리(Triple Three) 패턴이란?

트리플 쓰리는 더블 쓰리보다 한 단계 더 복잡한 패턴이에요.
세 개의 조정 파동(W, Y, Z)과 두 개의 X파동으로 연결되며, 총 11개의 파동(스윙)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표기 방법은 W-X-Y-X-Z예요.

트리플 쓰리의 주요 특징

  • 파동 구조: W-X-Y-X-Z (총 5개 구간, 11스윙)
  • W, Y, Z 파동의 형태: 지그재그, 플랫, 트라이앵글 (단, 제한 있음)
  • X 파동의 형태: 어떤 조정 형태든 가능
  • 출현 위치: 더블 쓰리와 마찬가지로 주로 4파동, B파동, X파동에서 나타남

트리플 쓰리의 대표적인 조합

  • 지그재그 + 플랫 + 플랫
  • 지그재그 + 플랫 + 트라이앵글
  • 플랫 + 플랫 + 지그재그
  • 플랫 + 지그재그 + 트라이앵글

트리플 쓰리의 피보나치 비율

  • X파동: W파동의 50~88.7%
  • Y파동: W파동의 61.8~127.2% (단, 161.8%를 넘지 못함)
  • Z파동: Y파동의 61.8~123.6% (역시 161.8% 넘지 못함)

👉 트리플 쓰리에서 삼각형은 마지막 Z에서만 허용됩니다(조합에서 삼각형은 항상 마지막)

더블 쓰리 vs 트리플 쓰리: 어떻게 구분할까?

많은 초보자분들이 가장 헷갈려하는 부분이에요. 핵심 포인트를 정리하면:

  • 더블 쓰리: 옆으로 길게 이어지는 두 개의 조정 구조 (7스윙)
  • 트리플 쓰리: 옆으로 더 길게 이어지는 세 개의 조정 구조 (11스윙)
  • 삼각형(트라이앵글)은 더블에서는 Y, 트리플에서는 Z에서만 등장
  • 출현 위치는 둘 다 주로 파동 4, B파동, X파동

👉 쉽게 말해, 트리플 쓰리는 더블 쓰리의 확장판이라고 생각하면 편해요. 또한 말단 구간에서 리딩/엔딩 다이아고날과 혼동하기 쉬우니 구조적 차이도 함께 체크해 두면 좋아요(엘리어트 파동 다이아고날 가이드).

투자자 관점에서 꼭 알아야 할 점

  1. 실시간 예측은 어렵다
    더블/트리플 쓰리는 진행 중일 때는 헷갈리기 쉽고, 거의 끝나갈 때쯤에야 확인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2. 횡보 장세에서 자주 등장
    큰 하락이나 상승보다는 옆으로 지루하게 늘어지는 구간에서 주로 관찰돼요.
  3. 다른 조정 패턴과 구분해야 함
    특히 더블 지그재그(ZZ)와 혼동하기 쉬운데, 더블 쓰리는 옆으로, 더블 지그재그는 기울기가 크게 나오므로 구별할 수 있어요.

마무리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서 가장 헷갈리는 더블 쓰리 & 트리플 쓰리 패턴을 살펴봤어요 .
요약하자면, 이 패턴들은 단순한 지그재그나 플랫보다 복잡하게 이어지는 복합 조정 구조이며, 옆으로 길게 늘어지면서 시장 참여자들을 헷갈리게 만들곤 해요.

특히 초보자분들은 "왜 이렇게 복잡하게 흘러가지?" 싶으실 수 있지만, 이런 복잡한 패턴도 결국 상승이나 하락 전환을 위한 에너지 축적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한결 편해요

Scroll Arrow